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벽화대신 25층 아파트가 필요해요”…7층 규제 완화에 들썩이는 창신동 [부동산360]
벽화만 남긴 도시재생사업…“치안도 위험한 동네, 재개발 시급”
“2종 주거지역 7층 규제 완화하면 아파트 공급 많을 것” 기대감
개발 방식 두고 “민간이냐 LH냐” 이견 발생
“공공기획은 민간 재개발일 뿐”
공공재개발 원하는 소유주들 “추가분담금 낼 여력 없어 LH 선호”
재개발 가시화되자 매물 잠김 심화…평당 3000이 기본
오세훈 서울시장의 '공공기획'을 적용한 민간 재개발 후보지 공모가 이달 말 시작된다. 그 중 참여의사를 밝히며 주민동의율 30%를 넘긴 종로구 창신동의 주택가 모습. 이민경 기자.

[헤럴드경제=이민경 기자] “창신1·2동 30만㎡ 중에서 준주거랑 3종지역 일부를 빼면 2종 일반주거지역이 거의 60%를 차지한다. 여기서 7층이 아닌 최대 25층까지 올라간다고 해보자. 추가되는 용적률이 200%가 넘는다. 서울 시내의 주택공급에 절대적인 기여를 하게된다.”(9월 서울시 공공기획 공모를 추진 중인 재개발추진위 관계자)

“공공기획은 일종의 민간재개발일 뿐이라 조합장이 생기고 과거의 폐단을 답습하게 될 수 있다. 만약 소송전이 벌어지면 훨씬 더 일정이 길어질 지도 모른다. 또 민간으로 하면 조합원 중에 3평, 4평, 5평 이렇게 작은 지분 갖고있는 사람들은 추가분담금 낼 형편이 안 된다.”(정부 공공재개발 지지자)

지난 2일 찾은 서울 종로구 창신동은 개발이 시급한, 전형적인 낙후된 도심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경사가 심한 좁은 도로에 오토바이가 무질서하게 다녀 보행자의 안전이 위협을 받았다.

인도와 차도의 구분이 없다. 봉제공장들 간의 교통수단이 된 오토바이가 예고없이 코너를 돌아 내려와 보행자를 놀래키기도 한다. 도로 곳곳에 써있는 '어린이보호'와 '여성안심구역'은 역설적으로 이곳이 안전하지 않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었다. 이민경 기자.

이곳에서 만난 한 미싱사는 “봉제공장들끼리 협업을 하느라고 오토바이가 자재를 싣고 나르는 것”이라면서 “그만큼 공장 하나하나가 영세하다는 것이며 도로가 워낙 좁아서 차는 다니기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

또, 창신동 골목 곳곳에는 전임 시장 때 진행된 도시재생 사업의 일환인 벽화작업 등이 남아있었다. 이에 대해 주민들은 “인프라가 개선된 점을 전혀 못 느끼겠다”고 토로했다.

이곳에서 살고 있는 한 50대 여성주민도 “도로 밑에 어린이 보호구역, 여성안심구역 이렇게 써있는 이유가 뭐겠느냐”면서 “밤에 한번 다녀보라, 그만큼 안전하지 않다는 뜻”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그런데 모두 개발을 원했지만 어떤 방식을 택할 지에 대해선 의견이 갈라져 있다. 특히 서울시가 내놓은 공공기획에 공모할 지를 두고도 이해관계가 충돌하고 있다.

박원순 전 서울시장 때 진행됐던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인 벽화 그리기의 흔적. 창신동 곳곳에서 마주칠 수 있다. 이민경 기자.

서울시는 지난 1일 ‘재개발 활성화 6대 규제완화 방안’과 관련 이행 준비와 제도개선을 이달 중 마무리하고 본격 적용된다고 밝혔다.

특히 2종 일반주거지역 중 7층 높이제한을 적용받고 있는 지역의 규제를 9월 말까지 풀겠다고 강조했다. 이후 25개 재개발 지역을 선정해 2만6000호의 신규 공급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공공기획 공모를 준비중인 강대선 창신동 재개발추진위원장은 “벌써 토지 등 소유자 2800명 중 1000명이 넘는 분들이 재개발정비구역 지정요건 사전검토요청 동의서를 쓰고 갔다”면서 “공공기획 1호가 되어야 그만큼 상징성도 있고 탄력을 받기 때문에 주말에도 사무실에 나와서 동의서를 받고있다”고 말했다.

강 추진위원장은 “현재 주민중 70%가 세입자이고 집주인이 사는 비율은 30% 정도이며 빈집도 상당하다”면서 “봉제공장 운영하시는 분들도 3분의 2 가량이 외지인이라 집주인들은 전반적으로 개발에 찬성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창신동에는 영세한 봉제업체 수백 곳이 있다. 이민경 기자.

이런 가운데 정부가 제안한 공공재개발을 희망하는 집주인들도 있었다. 이들은 서울시 공공기획 공모에는 부정적이었다. 공공기획은 서울시가 인허가 과정에 걸리는 기간을 5년에서 2년으로 대폭 줄여주긴 하지만 근본적으로 민간 정비사업이기 때문이다.

한 주민은 “저처럼 4평짜리 빌라 한 채를 가진 사람은 민간 재개발을 하면 추가분담금을 못 내 쫓겨날 수도 있다”면서 “공공재개발을 하면 LH에 아예 맡겨버리는 대신 새아파트는 무조건 받을 수 있지 않느냐”고 언급했다.

한편, 재개발 기대감이 고조된 창신동에는 단독주택은 물론 쪽방까지 매물이 쏙 들어간 상태였다.

창신동 A공인 대표는 “여기 장부에서 줄이 그어진 것은 한참 전에 팔린 것이고 지금은 남은 매물이 한 두개 뿐”이라면서 “단독주택은 기본 10억원은 있어야 살 수 있고 그 외에도 평당 3000만원을 예상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사실 어떻게 해도 재개발은 최소 10년 걸린다고 보면 되기 때문에 당장 이주가 시작될 리 없다”고 했다.

th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